티스토리 뷰
이전 1,2 포스트를 통해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과 제공하는 서비스를 다뤘는데 이미 배운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자.
트랜스포트 계층이란?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호스트끼리에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간에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마치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세스들이 동작하는 호스트가 사실은 저어어 멀리 있지만 마치 직접 연결되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신 과정에서 해당 계층의 프로토콜은 종단시스템에서 구현되며 메시지는 세그먼트(segment)라는 트랜스포트계층 패킷으로 변환한다.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될 때 네트워크 계층 패킷(데이터그램)안에 세그멘트가 캡슐화되어 전달되며 다시금 목적지쪽 네트워크 계층에서 역캡슐화가 일어난다.
++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을 사용할 수 있다. TCP / UDP
트랜스포트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 사이의 관계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각기 다른 호스트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어플리케이션)들 사이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하지만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은 호스트(종단시스템)들 사이의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둘은 각 계층에 다른 서비스를 제공하기에 하위 네트워크 프로토콜이 상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할 때도 특정 서비스는 트랜스포트 프로토콜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비신뢰적일 때ㅡ손실 가능성 ㅡ 를 두고 신뢰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바로 그 특정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에 대해 알아보자
트랜스포트 계층의 개요
트랜스포트 계층의 프로토콜로 대표적인 두개 UDP/ TCP가 있다.
UDP는 비신뢰적이고 비연결형인 서비스를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이며
TCP는 신뢰적이고 연결지향적인 서비스를 요청한 애플리케이션에게 제공하는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 이다.
해당 프로토콜들은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신뢰적인 통신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IP와 같은 프로토콜의 경우, 호스트들 간에 세그먼트 전달을 위해 최대한 노력하지만 어떤 보장도 하지 않는다. (비 신뢰적인 서비스)
그럼 TCP와 UDP가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는가?
UDP와 TCP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종단 시스템 사이의 IP전달 서비스를 ->
종단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두 프로세스간의 전달 서비스로 확장하는 것 이다(트랜스포트 계층 다중화)
더불어 UDP와 TCP는 헤더에 오류 검출 필드 포함함으로 무결성 검사 제공함으로 신뢰를 증가시키며
UDP 는 위에 두가지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TCP는 애플리케이션에 몇가지 추가적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 TCP는 신뢰적인 데이터전송(reliable data transfer)을 제공한다. / 흐름제어, 순서 번호, 확인 응답, 타이머)을 사용해서
- TCP는 혼잡 제어(congestion control)를 사용한다 / 과도한 양의 트래픽이 호스트사이 스위치와 링크를 혼잡하게하는 것을 방지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4.1 네트워크 계층 개요 (0) | 2023.01.21 |
---|---|
3.2 다중화와 역다중화 (0) | 2022.10.21 |
2.2 웹과 HTTP (0) | 2022.10.14 |
2.1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 구조 (0) | 2022.10.14 |
1.5 프로토콜 계층과 서비스 모델 (1) | 2022.10.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