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1,2 포스트를 통해 트랜스포트 계층의 역할과 제공하는 서비스를 다뤘는데 이미 배운 내용을 간략히 살펴보자. 트랜스포트 계층이란? 트랜스포트 계층 프로토콜은 호스트끼리에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간에 논리적 통신을 제공한다. (마치 애플리케이션에서 프로세스들이 동작하는 호스트가 사실은 저어어 멀리 있지만 마치 직접 연결되는 것 처럼 보이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통신 과정에서 해당 계층의 프로토콜은 종단시스템에서 구현되며 메시지는 세그먼트(segment)라는 트랜스포트계층 패킷으로 변환한다. 트랜스포트 계층에서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될 때 네트워크 계층 패킷(데이터그램)안에 세그멘트가 캡슐화되어 전달되며 다시금 목적지쪽 네트워크 계층에서 역캡슐화가 일어난다. ++ 애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트랜..
웹을 통해 우리는 채팅도 하고 메일도 주고받고 뉴스도 보고 영화도 보고 할 수 있는 것이 저엉~~말 많다. 이번 포스트를 통해서 이렇게 많은 서비스를 제공하게 해주는 웹에 대해 알아보고 웹이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 HTTP에 대해 알아보자. HTTP 개요 HTTP는 애플리케이션 프로토콜로써 각 다른 종단 시스템간 웹을 통해 (HTTP) 메시지를 전달하게 해준다. 여기서 응답 메시지로 받은 웹페이지는 객체의 구성으로 (html 파일, JPG, 자바스크립트 등) 객체 묶음을 URL(naver.com)로 지정되는하나의 파일이다. ex) 하나의 페이지에 html 텍스트 4개 ,JPEG 파일 한개가 있다면 해당 웹사이트는 6개의 구성으로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웹 페이지를 어떻게 요청할까? 우리는 서버에..
이번 포스트에서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우리에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우리가 원하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렇다면 애플리케이션 설계에 있어서 어떤 목적을 둬야할까? 애플리케이션의 목적 우선, 애플리케이션의 주요 역할은 종단 시스템에서 다른 종단시스템까지 통신하는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이다. 예시로 웹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한다면 서버와 클라이언트로 생각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는 서버에게 원하는 데이터를 달라 요청하고 이에 서버는 그에 맞는 데이터를 다시금 클라이언트에게 전달하게 되는데 이러한 통신이 애플리케이션의 역할이며 목적이다. 그렇다면 우린 컴퓨터를 배우는 사람이니 이러한 애플리케이션 목적에 의한 동작 원리와 구조를 알아보자 애플리케이션 구조..
우리는 이제것 인터넷에 대해 개념과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알아가면서 우리는 프로토콜 여러개를 접했으며 (IP Prame Packet등 ) 다양한 링크 레벨의 매체가 있음을 알게되었다. 꽤나 복잡하지 않았는가? 이를 조금 더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구조적인 계층화가 필요하다 . 이번 포스트에서는 이렇게 복잡한 네트워크를 구조적으로 알아보자. 계층구조 우리가 평상시에 어떠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일련의 과정이 필요하다. 예시로 비행기를 타고 일본으로 가보자 ! 티켓을 구매 -> 수하물 검사 -> 탑승 -> .... 비행기 이륙(라우팅) -> .... -> 수하물 확인 -> 티켓 (항의) 비행기를 타고 일본에 가는데도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된다..(왜이리 많아 그냥 보내줘) 여기서 우리는 이러한 과정과..
우리가 이전 포스트들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 연결된 네트워크에 대해 알아봤다.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에 완벽하게 데이터가 전달되지는 않고 손실과 지연이 존재한다. 이번 포스트에서는 그러한 지연과 손실, 처리율에 대해 알아보고자한다. 패킷 교환 네트워크에서의 지연개요 (큐잉지연, 전송지연, 전파지연) 패킷 교환에서 지연은 큐잉지연, 전송지연, 전파지연이 있다. 이러한 지연들을 합쳐 전체 노드 지연이라 말하며 데이터 전송 시 지연을 일으키는데,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는 이러한 지연에 큰 영향을 받는다. 처리 지연 패킷 헤더를 조사하고 해당 페킷을 어디로 보낼지 결정하는 시간이다. (페킷 비트레벨 오류 조사시간도 포함) 이 처리 후에는 페킷을 라우터에 앞에 존재하는 큐에 보내게된다 ..
이전 포스트를 통해 우리는 인터넷 가장자리를 공부하였다. Link 그렇다면 이제 End System ------- Packet Switch 에서 --------------- other Network 중 CORE 부분(패킷 스위치와 링크의 그물망)을 알아보자. 패킷 교환 어플리케이션에서 종단 시스템들은 서로 메시지(message)를 교환하는데 해당 메시지를 전체로 보내기엔 용량이 크기에 높은 비용과 손실 위기때문에 그 자체로 보내 지 않는다. 그렇기에 세그먼트로 나누어 헤더 값에 주소와 추가 내용을 담은 페킷(Packet)이라하는 작은 데이터 덩어리로 분할한다. 해당 페킷은 통신링크와 페킷스위치를 거치게 된다. 여기서! 패킷 스위치가 R비트/초의 속도로 링크에서 L 비트의 패킷을 송신하다면 패킷을 전송하는..
앞 포스트에서 인터넷과 프로토콜에 대한 대략적인 개념을 알아봤다면, 이제 네트워크 구성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이번에는 네트워크 가장자리에서 네트워크 코어로 어떻게 이동하는지와 컴퓨터 네트워크에서의 스위칭(교환)과 라우팅(경로설정)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이전 포스트에서 일반적인 통신 기기장치를 종단 시스템(End System)이라 했다. 종단시스템 말고도 다른 이름으로 불리우는데 어플리케이션 측면에서 전자메일과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 컴퓨터틱한 호스트(Host)라는 이름도 있다. 호스트는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로 구분되며 비공식이지만 이해를 돕기위해 예를 들자면 클라이언트는 데스크톱, PC ,테블릿 같은 기기 서버는 웹페이지를 저장,분배,검색,비디오를 수신하는 데이터센터를 ..
이 포스트에서 인터넷을 두가지 방법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첫 번쨰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가지 구성요소로써 기술 두 번째로는 네트워킹 인프라스트럭처 관점에서 기술이다. 첫번째,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두가지 구성요소로써 살펴보자. 인터넷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인터넷은 전세계적으로 존재하는 여러 하드웨어 장치들을 연결하는 네트워크다. 여기서 우리가 사용하는 통신 장치의 경우 End System이라고 하여금, 종단 시스템이라 부르자. 종단 시스템은 통신 링크를 통헤 다른 종단 시스템에 연결되며 패킷 스위치( packet Switch) 를 포함한 하나의 네트워크를 이루게 되며 다른 네트워크로 연결됨으로 데이터를 통신하게된다. Link End System --------------- Packet Switc..